우리가 마주하는 예술작품들은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그들의 무한한 상상과 치열한 노력을 통해 탄생하게 됩니다.
오늘날 작업실, 스튜디오, 아틀리에(Aterlier) 등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의미하는 여러 단어들이 존재합니다.
아트페는 존중과 응원의 마음을 담아
다양한 개성과 특성을 지닌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멀티큐브(Multicube)'라고 표현합니다.
아트페(ArtFE)의 여정은 멀티큐브에서 시작됩니다💫
[Visual Art]
∎ Artist. 김지섭 (Kim Ji-sup)
∎ Location.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Myeonmok-dong, Jungnang-gu, Seoul, Republic of Korea)
아티스트 소개
안녕하세요, 인체 내부의 풍경을 상상하여 재구성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아티스트 김지섭입니다.
저는 인체 내부의 생명력과 각기 다른 것들의 조화와 유기적인 관계, 그리고 삶의 시간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물감을 겹치고 긁어내는 표현으로 과거의 시간 속에서 자신을 깎아가는 과정이나 살면서 생채기를 얻는 것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시간이 현재에 영향을 주듯이 과거에 어떤 색을 어떻게 칠했는가에 따라 현재의 결과물에 영향을 주는 것을 그림에 담고 있습니다. 우리가 삶 속에서 생명력을 못 느낄지라도, 우리 안에는 강인한 생명력이 존재하며, 우리는 각기 다른 형태와 쓰임새로 이 사회 안에서 필요한 존재이며, 우리가 살아온 모든 시간이 가치 있음을 관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Q. '안과 밖의' 멀티큐브 이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저의 멀티큐브는 인체 내부의 시공간과 그것을 밖으로 끄집어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공간입니다.
Q. 안과 밖의 멀티큐브에서 탄생한 작품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이상한 풍경56(Dreaming landscape No.56)
Carving acrylic on canvas, 163 x 131cm, 2023
B. 이상한 풍경61(Dreaming landscape No.61)
Carving acrylic on canvas, 163 x 131cm, 2023
C. 이상한 풍경77(Dreaming landscape No.77)
Carving acrylic on canvas, 163 x 131cm, 2024
인체 내부의 생명력과 관계, 삶의 시간에 대한 작품입니다.
Q. 이 공간을 멀티큐브로 정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아차산에 있는 선화예고 때부터 건대까지 제 학창 시절이 있는 곳의 근처여서 더 맘에 들었던 것 같습니다. 다른 서울의 중심부에 가기에 용이하고 평수 대비 가격이 좋은 편입니다.
Q. 멀티큐브에서의 루틴은 어떻게 되시나요?
아이스커피를 텀블러에 탄 뒤 하루 종일 작업하고 있습니다. 작업을 12시간에서 15시간 정도 체력이 되는대로 할 수 있을 만큼 하기 때문에 24시간에 규칙적으로 맞춰지지 않고 깨면 작업하고 피곤하면 자고 작업에 맞추어 생활하고 있습니다. 이 생활을 주 6일 정도 하고 하루는 쉬려고 하는 편입니다.
Q. 작업을 안 하실 때 멀티큐브에서 어떤 일을 하시나요?
작업을 12시간에서 15시간 정도 체력이 되는대로 할 수 있을 만큼 하기 때문에 이 생활을 주 6일 정도 하고 하루는 쉬려고 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중간마다 작업을 쉬기보다는 하루 온전히 쉴 때는 거의 잠만 자거나 누워서 회복하려 하는 편입니다. 쉬면서 SF영화나 만화를 즐겨봅니다.
🎧 안과 밖의 멀티큐브의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해주세요.
- Mermaid (볼빨간 사춘기) _ 사람들이 더 이상 내 노래를 듣지 않는다면 더 이상 가수로서 존재할 수 없음을 인어에 비유하여 이야기하는데 작가도 마찬가지라 생각되어 감정이 이입되는 것 같습니다.
- 운이 좋았지 (권진아) _ 삶에 대한 것을 사랑에 비유하여 이야기하는 노래인데 삶에 대해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되어 계속 듣게 되는 좋은 노래라고 생각합니다.
- 사랑이라 믿었던 것들은(서동현) _ 저는 자기 색이 보이는 차별화된 음악을 좋아하는데 이 앨범은 모든 곡이 색다른 것 같아 자주 듣습니다.
What's in My Multicube?
1. 작업에 쓰이는 물감과 물감 진열대입니다.
2. 작업을 올려두는 좌대입니다.
Q. 앞으로 멀티큐브에서 새롭게 하고 싶은 일이나 작업이 있으실까요?
새롭게 하는 것보다는 꾸준히 계속 작업을 할 것이고 매일매일 작업이 발전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아티스트 CV
[개인전]
2024 삶의 의미(Meaning of life)(구구갤러리목동, 서울)
2022 이상한 풍경(Dreaming landscape) (신풍미술관, 예천)
2022 이상한 풍경(Dreaming landscape)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2022 Dreaming landscape - Life time(이상한 풍경 – 삶의 시간)(갤러리 밀레, 인천)
2022 Grow up (창생재미 갤러리, 성남)
2021 걸었던 길, 걷고 있는 길, 가야할 길 (유니온 아트 스페이스, 서울)
2020 Stuffed emotion (박제된 감정) (미스테이크 뮤지엄, 가평)
2020 Inner space (내재된 공간) (토포하우스, 서울)
2018 세 개의 틀 – 영천예술창작스튜디오10기 입주작가 릴레이전 (영천 예술 창작 스튜디오, 영천)
2017 동물원에 갇힌 사람들 개인전 (팔레 드 서울, 서울) 동물원에 갇힌 사람들 개인전 (갤러리 사각형, 서울)
[단체전]
2024 <넌 도대체 머릿속에 뭐가들었니> 그룹 런치박스 단체전(아트스페이스 가제, 서울)
2024 4인의 평론가가 선정한 40인전(갤러리ST, 서울)
2024 <Craft + Man = Ship> 제2회 서울공예문화축제 컨템포러리 아트 전시(서울함공원, 서울)
2023 각양각색 단체전(바른아트센터, 성남)
2023 Hidden agenda(프로젝트 스페이스 가제, 서울)
2023 광화문 국제 아트 페스티벌(서울특별시, 서울)
2023 동행 단체전(산리갤러리, 양평)
2023 양평아트랩페스티벌 ‘픙경과 초상’(608갤러리, 양평)
2023 The feeling begins(갤러리민정, 서울)
2023 구구이즘단체전(구구갤러리, 서울) 뮤턴트단체전(비움갤러리, 서울)
2023 영9전(구구갤러리, 서울) 지금의 이미지 그룹 런치박스 단체전(서울숲 언더스텐드 에비뉴 선하리 갤러리, 서울)
2023 언박싱 그룹 런치박스 단체전(갤러리 모스, 서울)
2022 동시다발전(갤러리 모스, 초연, 가제, 서울)
2021 예술의 전당 가을예술장터(예술의 전당 한가람 디자인 미술관, 서울)
2021 이 시대를 관통하는 삶의 자세 3인전(서울시민대학 동남권 갤러리, 서울)
이외 다수
⋮
[수상]
2020 서리풀 미술대전 입선 (서초 미술협회, 서울)
2017 대한민국 미술대전 비구상부문 입선(일산 호수공원 꽃박람회장)
2014 서울 매트로 전국 미술대전 입선 (경복궁역 메트로 미술관, 서울)
2013 한국 국제 미술대전 특선 (안산 문화예술의 전당)
2012 서울 매트로 전국 미술대전 입선 (경복궁역 메트로 미술관, 서울)
•••••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특별한 ART를 만나보세요!
Art For Everyone,
아트페(ArtFE)
예술가 작업실에서의 예술은
단순한 관람 이상의 경험을 선사합니다.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특별한 순간을 놓치지 마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인 멀티큐브에서
특별한 당신을 기다립니다!
우리가 마주하는 예술작품들은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그들의 무한한 상상과 치열한 노력을 통해 탄생하게 됩니다.
오늘날 작업실, 스튜디오, 아틀리에(Aterlier) 등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의미하는 여러 단어들이 존재합니다.
아트페는 존중과 응원의 마음을 담아
다양한 개성과 특성을 지닌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멀티큐브(Multicube)'라고 표현합니다.
아트페(ArtFE)의 여정은 멀티큐브에서 시작됩니다💫
[Visual Art]
∎ Artist. 김지섭 (Kim Ji-sup)
∎ Location.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
(Myeonmok-dong, Jungnang-gu, Seoul, Republic of Korea)
아티스트 소개
안녕하세요, 인체 내부의 풍경을 상상하여 재구성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아티스트 김지섭입니다.
저는 인체 내부의 생명력과 각기 다른 것들의 조화와 유기적인 관계, 그리고 삶의 시간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물감을 겹치고 긁어내는 표현으로 과거의 시간 속에서 자신을 깎아가는 과정이나 살면서 생채기를 얻는 것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시간이 현재에 영향을 주듯이 과거에 어떤 색을 어떻게 칠했는가에 따라 현재의 결과물에 영향을 주는 것을 그림에 담고 있습니다. 우리가 삶 속에서 생명력을 못 느낄지라도, 우리 안에는 강인한 생명력이 존재하며, 우리는 각기 다른 형태와 쓰임새로 이 사회 안에서 필요한 존재이며, 우리가 살아온 모든 시간이 가치 있음을 관객들에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Q. '안과 밖의' 멀티큐브 이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저의 멀티큐브는 인체 내부의 시공간과 그것을 밖으로 끄집어내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공간입니다.
Q. 안과 밖의 멀티큐브에서 탄생한 작품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이상한 풍경56(Dreaming landscape No.56)
Carving acrylic on canvas, 163 x 131cm, 2023
B. 이상한 풍경61(Dreaming landscape No.61)
Carving acrylic on canvas, 163 x 131cm, 2023
C. 이상한 풍경77(Dreaming landscape No.77)
Carving acrylic on canvas, 163 x 131cm, 2024
인체 내부의 생명력과 관계, 삶의 시간에 대한 작품입니다.
Q. 이 공간을 멀티큐브로 정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아차산에 있는 선화예고 때부터 건대까지 제 학창 시절이 있는 곳의 근처여서 더 맘에 들었던 것 같습니다. 다른 서울의 중심부에 가기에 용이하고 평수 대비 가격이 좋은 편입니다.
Q. 멀티큐브에서의 루틴은 어떻게 되시나요?
아이스커피를 텀블러에 탄 뒤 하루 종일 작업하고 있습니다. 작업을 12시간에서 15시간 정도 체력이 되는대로 할 수 있을 만큼 하기 때문에 24시간에 규칙적으로 맞춰지지 않고 깨면 작업하고 피곤하면 자고 작업에 맞추어 생활하고 있습니다. 이 생활을 주 6일 정도 하고 하루는 쉬려고 하는 편입니다.
Q. 작업을 안 하실 때 멀티큐브에서 어떤 일을 하시나요?
작업을 12시간에서 15시간 정도 체력이 되는대로 할 수 있을 만큼 하기 때문에 이 생활을 주 6일 정도 하고 하루는 쉬려고 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중간마다 작업을 쉬기보다는 하루 온전히 쉴 때는 거의 잠만 자거나 누워서 회복하려 하는 편입니다. 쉬면서 SF영화나 만화를 즐겨봅니다.
🎧 안과 밖의 멀티큐브의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해주세요.
What's in My Multicube?
1. 작업에 쓰이는 물감과 물감 진열대입니다.
2. 작업을 올려두는 좌대입니다.
Q. 앞으로 멀티큐브에서 새롭게 하고 싶은 일이나 작업이 있으실까요?
새롭게 하는 것보다는 꾸준히 계속 작업을 할 것이고 매일매일 작업이 발전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아티스트 CV
[개인전]
2024 삶의 의미(Meaning of life)(구구갤러리목동, 서울)
2022 이상한 풍경(Dreaming landscape) (신풍미술관, 예천)
2022 이상한 풍경(Dreaming landscape)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2022 Dreaming landscape - Life time(이상한 풍경 – 삶의 시간)(갤러리 밀레, 인천)
2022 Grow up (창생재미 갤러리, 성남)
2021 걸었던 길, 걷고 있는 길, 가야할 길 (유니온 아트 스페이스, 서울)
2020 Stuffed emotion (박제된 감정) (미스테이크 뮤지엄, 가평)
2020 Inner space (내재된 공간) (토포하우스, 서울)
2018 세 개의 틀 – 영천예술창작스튜디오10기 입주작가 릴레이전 (영천 예술 창작 스튜디오, 영천)
2017 동물원에 갇힌 사람들 개인전 (팔레 드 서울, 서울) 동물원에 갇힌 사람들 개인전 (갤러리 사각형, 서울)
[단체전]
2024 <넌 도대체 머릿속에 뭐가들었니> 그룹 런치박스 단체전(아트스페이스 가제, 서울)
2024 4인의 평론가가 선정한 40인전(갤러리ST, 서울)
2024 <Craft + Man = Ship> 제2회 서울공예문화축제 컨템포러리 아트 전시(서울함공원, 서울)
2023 각양각색 단체전(바른아트센터, 성남)
2023 Hidden agenda(프로젝트 스페이스 가제, 서울)
2023 광화문 국제 아트 페스티벌(서울특별시, 서울)
2023 동행 단체전(산리갤러리, 양평)
2023 양평아트랩페스티벌 ‘픙경과 초상’(608갤러리, 양평)
2023 The feeling begins(갤러리민정, 서울)
2023 구구이즘단체전(구구갤러리, 서울) 뮤턴트단체전(비움갤러리, 서울)
2023 영9전(구구갤러리, 서울) 지금의 이미지 그룹 런치박스 단체전(서울숲 언더스텐드 에비뉴 선하리 갤러리, 서울)
2023 언박싱 그룹 런치박스 단체전(갤러리 모스, 서울)
2022 동시다발전(갤러리 모스, 초연, 가제, 서울)
2021 예술의 전당 가을예술장터(예술의 전당 한가람 디자인 미술관, 서울)
2021 이 시대를 관통하는 삶의 자세 3인전(서울시민대학 동남권 갤러리, 서울)
이외 다수
⋮
[수상]
2020 서리풀 미술대전 입선 (서초 미술협회, 서울)
2017 대한민국 미술대전 비구상부문 입선(일산 호수공원 꽃박람회장)
2014 서울 매트로 전국 미술대전 입선 (경복궁역 메트로 미술관, 서울)
2013 한국 국제 미술대전 특선 (안산 문화예술의 전당)
2012 서울 매트로 전국 미술대전 입선 (경복궁역 메트로 미술관, 서울)
•••••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특별한 ART를 만나보세요!
Art For Everyone,
아트페(ArtFE)
예술가 작업실에서의 예술은
단순한 관람 이상의 경험을 선사합니다.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특별한 순간을 놓치지 마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인 멀티큐브에서
특별한 당신을 기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