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마주하는 예술작품들은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그들의 무한한 상상과 치열한 노력을 통해 탄생하게 됩니다.
오늘날 작업실, 스튜디오, 아틀리에(Aterlier) 등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의미하는 여러 단어들이 존재합니다.
아트페는 존중과 응원의 마음을 담아
다양한 개성과 특성을 지닌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멀티큐브(Multicube)'라고 표현합니다.
아트페(ArtFE)의 여정은 멀티큐브에서 시작됩니다💫
[Visual Art]
∎ Artist. 임정수 (Lim Jeong Soo)
∎ Location. 체코 프라하
(Prague, Czech Republic)
아티스트 소개
안녕하세요, 아티스트 임정수입니다. 대상에 명명된 언어로 인해 생성되는 환상과 낭만에 대한 반항심이 작업의 동력이 될 때가 많습니다. 사물의 언어와 몸의 감각을 신뢰합니다. 괴물을 포함한 비인간, 미신, 전설, 의례 등 인간 문화의 부산물을 작업의 소재로 삼습니다.
저는 조각, 설치, 퍼포먼스, 비디오, 텍스트 등을 다룹니다. 문학 속 글귀나 등장인물 및 사물, 광고 문구, 미디어 속 대화에서 흥미가 가는 구체적 소재를 발견합니다. 퍼포먼스에 집중할 경우 사물과 몸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사를 만듭니다. 조각에 집중할 경우 조각 표면의 회화성에 초점을 둡니다. 조각을 퍼포먼스에 도구로써 사용하기도 하고 영상을 위한 퍼포먼스를 하는 등 매체 간의 중첩 공간을 만들기도 합니다.
Q. '찰나에서 부유하기' 멀티큐브 이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고정된 공간 없이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작업할 때가 많습니다. 멀티큐브나 사는 곳도 자주 옮기는 편이고 그냥 길에서 작업을 해야 할 때도 있고 전시장에서 작업을 해야 할 때도 있었고요. 일시적인 순간에 존재하는 그 자체를 반복하며 살고 싶고 그러한 태도를 작업에 반영하고 싶다는 마음과 불안정한 작업 공간의 상황을 모두 복합적으로 생각할 때 제 멀티큐브를 찰나를 지나가는 곳이 이름 짓고 싶습니다.
Q. 찰나에서 부유하기 멀티큐브에서 탄생한 작품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그들은 대화 중입니다 | 스티로폼, 종이, 천 | 165*100*100㎝ | 2022
They Are Talking | Styrofoam, paper, fabric | 165*100*100㎝ | 2022
조각 넷이 모여 대화를 나눕니다.
넷이 함께 동그랗게 서면 우리는 그 사이에 낄 수 없습니다.
서로 몸의 일부가 퍼즐처럼 서로 맞춰질 것만 같은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벽지, 동물을 흉내 낸 패턴을 가진 걸까 동물 천이 사용되었습니다.
B. 묘비명 | 스티로폼, 천, 시멘트 | 40*16*30㎝*8개 | 2022
Epitaph | Styrofoam, fabric, cement | 40*16*30㎝*8 pieces | 2022
묘비는 다음 세계와 시간으로 우리를 안내합니다.
묘비는 남은 자가 아직은 볼 수 있는 이다음 세계 최소한의 얼굴로
우리가 원하는 방식으로 미래에 환상을 부여하도록 돕습니다.
조각의 앞쪽에는 묘비를 모방한 질감과 패턴, 반대편에는 무지개색이 있습니다.
Q. 이 공간을 멀티큐브로 정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곳은 넓은 정원 안에 위치한 큰 오두막입니다. 거칠고 먼지가 나는 작업을 편하게 할 수 있어서 실용적입니다.
Q. 멀티큐브에서의 루틴은 어떻게 되시나요?
멀티큐브에 가기 전 작업할 내용을 생각하고 혹시 재료가 부족하다면 미리 구해서 멀티큐브로 갑니다. 재료 및 공구 정리가 잘 되어 있어야 집중할 수 있어서 일단 조금 청소를 하고요. 시간을 정해두고 작업하는 편이라 정해둔 시간이 되면 청소하고 멀티큐브를 나옵니다.
Q. 작업을 안 하실 때 멀티큐브에서 어떤 일을 하시나요?
보통 정확한 작업량과 일정을 생각해 두고 멀티큐브에 갑니다. 작업 외 공부와 일도 해야 하기 때문에 느긋하게 작업하는 편은 아닙니다. 가자마자 시작하고 끝나면 바로 청소하고 나와요. 그래서 작업을 안 할 때는 멀티큐브에 잘 있지 않는 편입니다. 가끔 눈이 아프면 잠시 멀티큐브 주변 정원을 산책할 때는 있습니다.
🎧 찰나에서 부유하기 멀티큐브의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해주세요.
작업 시 음악을 들으면 음악에 너무 집중돼서 작업할 때는 잘 안 듣는 편이에요. 보통 체코어나 영어 라디오 혹은 오디오북 등을 틀어둡니다.
What's in My Multicube?
* 특별히 자랑하고 싶은 것은 없습니다. 가장 자주 사용하는 제 공구를 보여드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천, 철사, 철망을 주로 사용해서 이 세 가지의 도구 < 펜치, 글루건, 큰 가위>를 가장 저와 가까운 곳에 둡니다.
Q. 앞으로 멀티큐브에서 새롭게 하고 싶은 일이나 작업이 있으실까요?
드로잉적인 조각을 하고 싶다는 계획과 바람이 최근에 생겼습니다. 퍼포먼스와 좀 더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는 조각의 형태도 실험하고 싶습니다.
아티스트 CV
[개인전]
2024 핀치새 | 도스갤러리 (서울, 한국)
2019 자스타브카 & 스타니체 | 2/W + 위켄드 (서울, 한국)
2018 같은 문장을 두 번 말한다 | artbn (서울, 한국)
2017 ARE 레지던시 개인전: 임정수 | 콩코르디아 (엔스헤데, 네덜란드)
2017 벽, 땅, 옆 | 김종영미술관 (서울,한국)
[단체전]
2024 사운드 연구: 상상의 작업 공간 | BHROX 바우하우스 reuse (베를린, 독일)
2024 오늘의 하늘 | 니카 갤러리 (프라하, 체코)
2024 두산아트랩 2024 | 두산갤러리 (서울, 한국)
2023 우리가 모여 산을 이루는 이야기 |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서울, 한국)
2022 낯선 꽃 | Neone: HALA 17 (프라하, 체코)
2022 각 | 하이트컬렉션 (서울, 한국)
2020 10 Pictures | 웨스 (서울, 한국)
2019 프라하 쿼드리에날 | 인더스트리얼 팔라스 (프라하, 체코)
2019 레드소파 | 로이틀링겐 뮤지엄 (로이틀링겐, 독일)
2019 애니마 문디 | 더 룸 컨템포러리 아트스페이스 (베니스, 이탈리아)
2019 초-극적 단상 | 세마창고 (서울, 한국)
⁝
[수상]
2024 두산아트랩 | 두산갤러리 (서울, 한국)
2023 선정 작가 [알마낙 : 50 컨템포러리 아티스트 인 코리아’] (서울, 한국)
2021 K-Arts 온로드 (서울, 한국)
2019 현대아트랩 - [Artist in Scene #52: 임정수] (서울, 한국)
2019 경기예술창작지원사업 시각예술분야 (경기도, 한국)
2019 헬로! 아티스트 | 네이버 (서울, 한국)
2017 우노아티스트, 서울대학교 & 현대자동차 (서울, 한국)
2017 2017 창작지원작가 선정, 김종영미술관 (서울, 한국)
2015 ILHYUN TRAVEL GRANT, 을지재단 (양양, 한국)
•••••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특별한 ART를 만나보세요!
Art For Everyone,
아트페(ArtFE)
예술가 작업실에서의 예술은
단순한 관람 이상의 경험을 선사합니다.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특별한 순간을 놓치지 마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인 멀티큐브에서
특별한 당신을 기다립니다!
우리가 마주하는 예술작품들은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그들의 무한한 상상과 치열한 노력을 통해 탄생하게 됩니다.
오늘날 작업실, 스튜디오, 아틀리에(Aterlier) 등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의미하는 여러 단어들이 존재합니다.
아트페는 존중과 응원의 마음을 담아
다양한 개성과 특성을 지닌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멀티큐브(Multicube)'라고 표현합니다.
아트페(ArtFE)의 여정은 멀티큐브에서 시작됩니다💫
[Visual Art]
∎ Artist. 임정수 (Lim Jeong Soo)
∎ Location. 체코 프라하
(Prague, Czech Republic)
아티스트 소개
안녕하세요, 아티스트 임정수입니다. 대상에 명명된 언어로 인해 생성되는 환상과 낭만에 대한 반항심이 작업의 동력이 될 때가 많습니다. 사물의 언어와 몸의 감각을 신뢰합니다. 괴물을 포함한 비인간, 미신, 전설, 의례 등 인간 문화의 부산물을 작업의 소재로 삼습니다.
저는 조각, 설치, 퍼포먼스, 비디오, 텍스트 등을 다룹니다. 문학 속 글귀나 등장인물 및 사물, 광고 문구, 미디어 속 대화에서 흥미가 가는 구체적 소재를 발견합니다. 퍼포먼스에 집중할 경우 사물과 몸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사를 만듭니다. 조각에 집중할 경우 조각 표면의 회화성에 초점을 둡니다. 조각을 퍼포먼스에 도구로써 사용하기도 하고 영상을 위한 퍼포먼스를 하는 등 매체 간의 중첩 공간을 만들기도 합니다.
Q. '찰나에서 부유하기' 멀티큐브 이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고정된 공간 없이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작업할 때가 많습니다. 멀티큐브나 사는 곳도 자주 옮기는 편이고 그냥 길에서 작업을 해야 할 때도 있고 전시장에서 작업을 해야 할 때도 있었고요. 일시적인 순간에 존재하는 그 자체를 반복하며 살고 싶고 그러한 태도를 작업에 반영하고 싶다는 마음과 불안정한 작업 공간의 상황을 모두 복합적으로 생각할 때 제 멀티큐브를 찰나를 지나가는 곳이 이름 짓고 싶습니다.
Q. 찰나에서 부유하기 멀티큐브에서 탄생한 작품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그들은 대화 중입니다 | 스티로폼, 종이, 천 | 165*100*100㎝ | 2022
They Are Talking | Styrofoam, paper, fabric | 165*100*100㎝ | 2022
조각 넷이 모여 대화를 나눕니다.
넷이 함께 동그랗게 서면 우리는 그 사이에 낄 수 없습니다.
서로 몸의 일부가 퍼즐처럼 서로 맞춰질 것만 같은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벽지, 동물을 흉내 낸 패턴을 가진 걸까 동물 천이 사용되었습니다.
B. 묘비명 | 스티로폼, 천, 시멘트 | 40*16*30㎝*8개 | 2022
Epitaph | Styrofoam, fabric, cement | 40*16*30㎝*8 pieces | 2022
묘비는 다음 세계와 시간으로 우리를 안내합니다.
묘비는 남은 자가 아직은 볼 수 있는 이다음 세계 최소한의 얼굴로
우리가 원하는 방식으로 미래에 환상을 부여하도록 돕습니다.
조각의 앞쪽에는 묘비를 모방한 질감과 패턴, 반대편에는 무지개색이 있습니다.
Q. 이 공간을 멀티큐브로 정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이곳은 넓은 정원 안에 위치한 큰 오두막입니다. 거칠고 먼지가 나는 작업을 편하게 할 수 있어서 실용적입니다.
Q. 멀티큐브에서의 루틴은 어떻게 되시나요?
멀티큐브에 가기 전 작업할 내용을 생각하고 혹시 재료가 부족하다면 미리 구해서 멀티큐브로 갑니다. 재료 및 공구 정리가 잘 되어 있어야 집중할 수 있어서 일단 조금 청소를 하고요. 시간을 정해두고 작업하는 편이라 정해둔 시간이 되면 청소하고 멀티큐브를 나옵니다.
Q. 작업을 안 하실 때 멀티큐브에서 어떤 일을 하시나요?
보통 정확한 작업량과 일정을 생각해 두고 멀티큐브에 갑니다. 작업 외 공부와 일도 해야 하기 때문에 느긋하게 작업하는 편은 아닙니다. 가자마자 시작하고 끝나면 바로 청소하고 나와요. 그래서 작업을 안 할 때는 멀티큐브에 잘 있지 않는 편입니다. 가끔 눈이 아프면 잠시 멀티큐브 주변 정원을 산책할 때는 있습니다.
🎧 찰나에서 부유하기 멀티큐브의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해주세요.
작업 시 음악을 들으면 음악에 너무 집중돼서 작업할 때는 잘 안 듣는 편이에요. 보통 체코어나 영어 라디오 혹은 오디오북 등을 틀어둡니다.
What's in My Multicube?
* 특별히 자랑하고 싶은 것은 없습니다. 가장 자주 사용하는 제 공구를 보여드리는 것이 좋겠습니다. 천, 철사, 철망을 주로 사용해서 이 세 가지의 도구 < 펜치, 글루건, 큰 가위>를 가장 저와 가까운 곳에 둡니다.
Q. 앞으로 멀티큐브에서 새롭게 하고 싶은 일이나 작업이 있으실까요?
드로잉적인 조각을 하고 싶다는 계획과 바람이 최근에 생겼습니다. 퍼포먼스와 좀 더 직접적으로 연결이 되는 조각의 형태도 실험하고 싶습니다.
아티스트 CV
[개인전]
2024 핀치새 | 도스갤러리 (서울, 한국)
2019 자스타브카 & 스타니체 | 2/W + 위켄드 (서울, 한국)
2018 같은 문장을 두 번 말한다 | artbn (서울, 한국)
2017 ARE 레지던시 개인전: 임정수 | 콩코르디아 (엔스헤데, 네덜란드)
2017 벽, 땅, 옆 | 김종영미술관 (서울,한국)
[단체전]
2024 사운드 연구: 상상의 작업 공간 | BHROX 바우하우스 reuse (베를린, 독일)
2024 오늘의 하늘 | 니카 갤러리 (프라하, 체코)
2024 두산아트랩 2024 | 두산갤러리 (서울, 한국)
2023 우리가 모여 산을 이루는 이야기 |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서울, 한국)
2022 낯선 꽃 | Neone: HALA 17 (프라하, 체코)
2022 각 | 하이트컬렉션 (서울, 한국)
2020 10 Pictures | 웨스 (서울, 한국)
2019 프라하 쿼드리에날 | 인더스트리얼 팔라스 (프라하, 체코)
2019 레드소파 | 로이틀링겐 뮤지엄 (로이틀링겐, 독일)
2019 애니마 문디 | 더 룸 컨템포러리 아트스페이스 (베니스, 이탈리아)
2019 초-극적 단상 | 세마창고 (서울, 한국)
⁝
[수상]
2024 두산아트랩 | 두산갤러리 (서울, 한국)
2023 선정 작가 [알마낙 : 50 컨템포러리 아티스트 인 코리아’] (서울, 한국)
2021 K-Arts 온로드 (서울, 한국)
2019 현대아트랩 - [Artist in Scene #52: 임정수] (서울, 한국)
2019 경기예술창작지원사업 시각예술분야 (경기도, 한국)
2019 헬로! 아티스트 | 네이버 (서울, 한국)
2017 우노아티스트, 서울대학교 & 현대자동차 (서울, 한국)
2017 2017 창작지원작가 선정, 김종영미술관 (서울, 한국)
2015 ILHYUN TRAVEL GRANT, 을지재단 (양양, 한국)
•••••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특별한 ART를 만나보세요!
Art For Everyone,
아트페(ArtFE)
예술가 작업실에서의 예술은
단순한 관람 이상의 경험을 선사합니다.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특별한 순간을 놓치지 마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인 멀티큐브에서
특별한 당신을 기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