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le][아트페] 요새같은 멀티큐브 | Feat. 아티스트 공병훈

우리가 마주하는 예술작품들은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그들의 무한한 상상과 치열한 노력을 통해 탄생하게 됩니다.

오늘날 작업실, 스튜디오, 아틀리에(Aterlier) 등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의미하는 여러 단어들이 존재합니다.

아트페는 존중과 응원의 마음을 담아
다양한 개성과 특성을 지닌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멀티큐브(Multicube)'라고 표현합니다.

아트페(ArtFE)의 여정은 멀티큐브에서 시작됩니다💫


[Visual Art]
∎ Artist. 공병훈 (Kong Byung-hoon)
∎ Location. 대구광역시 서구 북비산로
(Bukbisan-ro, Seo-gu, Daegu, Republic of Korea)



아티스트 소개


안녕하세요, 아티스트 공병훈입니다. 저는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들을 담은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사회와 통용되며, 작업을 통해 소통하고자 합니다. 스스로를 잘 돌봐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아, 자칫하면 깨질 수 있는 유리의 형상을 띤 평면 회화와 레진을 이용한 입체 조형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Q. '요새같은' 멀티큐브 이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제가 작업을 하는 이유 중 하나는 소통을 위한 것입니다. 하지만 작업에 깊이 집중할수록 스스로 요새를 쌓아가는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Q. 요새같은 멀티큐브에서 탄생한 작품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분재_레진, 아크릴_60x60x58cm_2023

보기 좋게 잘 가꾸어진 분재 된 식물을 보면 우리들의 삶과 같아 보입니다. 
모난 가지는 잘라버리고, 중심이 되는 뿌리조차 손질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잘 가꾸어도 또다시 새 뿌리를 내리고 새로운 가지를 뻗칩니다.

B. 염원(念願)_캔버스 위 유화_91x73cm_2022

‘초’는 어둠 속에서도 빛을 잃지 않고 새벽을 기다리는 불꽃을 의미합니다. 
간절히 무언가를 바랄 때 초를 밝혀 기도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시간의 흐름 속에서 결국 꺼지고 마는 불꽃처럼, 
스스로도 쉽게 꺼질 수 있기에 자신을 잘 보살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자 했습니다. 
이를 유리의 형상을 통해 표현하여 초의 이미지를 형상화했습니다.

C. 분재_캔버스 위 유화_73x32cm(4piece)_2023 


덩굴 속에서도 열매를 맺고, 아무리 잘라내도 새롭게 자라는 식물들처럼, 
사람들 역시 사회의 기준 속에서 끊임없이 성장하며 
각자의 존재를 드러내고자 합니다. 



Q. 이 공간을 멀티큐브로 정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멀티큐브를 선택할 때는 여러 가지 조건을 고려하지만, 무엇보다도 작업에 방해가 되는 요소들이 적은 곳을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조용한 주변 환경과 상가 형식의 공간은 작업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합니다.  



Q. 멀티큐브에서의 루틴은 어떻게 되시나요?

잔잔한 음악을 틀고 커피 한 잔을 마시며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을 어떻게 이어갈지, 그리고 앞으로의 작업 방향을 어떻게 설정할지 고민하며 작업을 시작합니다. 작업이 끝나면 사용했던 재료들을 꼼꼼히 정리하며 하루를 마무리합니다.  



Q. 작업을 안 하실 때 멀티큐브에서 어떤 일을 하시나요?

멀티큐브에 있을 때는 작업을 하든 하지 않든 작업 구상과 재료에 대한 연구를 이어갑니다. 또한, 작업 관련 공모나 전시 정보를 검색하며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노력합니다.  



🎧 요새같은 멀티큐브의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해주세요.

특정 곡보다는 잔잔한 음악이나 노래를 자주 듣습니다. 템포가 빠른 음악을 들으면 제 작업 리듬이 깨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What's in My Multicube?

1. 비밀창고 _ 폴딩박스와 밑의 수납장 속에는 많은 재료들 들어있습니다. 저에게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들입니다. 
2. 책장 _ 아직은 많지 않지만 조금씩 작업 관련 자료들을 살펴보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책들입니다. 



Q. 앞으로 멀티큐브에서 새롭게 하고 싶은 일이나 작업이 있으실까요?

“왜 주제가 달라?” “왜 그리는 소재가 달라?”라는 의문이 드신다면, 공병훈 작가가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고 발전해 나가고 있는 작가라는 점을 이해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의 작업 과정에서도 많은 변화를 겪을 것이며,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작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아티스트 CV

[개인전]
2024 공병훈 초대전 - 분재 (금오공대 갤러리, 구미) 

2023 분재 (MAMU갤러리, 하남) 
2022 염원 (보나갤러리, 대구) 
2022 공병훈 초대개인전 (고도아트갤러리, 대구) 
2022 저버린 개성 (CAFÉ ACORE 갤러리, 경주) 
2020 공병훈 전 (DEBEC VIP LOUNGE 갤러리, 대구) 
2017 누구를 위한… (서경갤러리, 서울) 
2015 ‘Reallusion-저버린 개성’전 (대구대학교 미술관, 대구) 
2014 공병훈 전 <저버린 개성> (범어도서관 아르스에스 갤러리, 대구) 
2012 The 4th 공병훈 개인전 (수성아트피아 뉴-프론티어, 대구 ) 
2012 신진작가 창작지원전 (가가 갤러리, 서울) 
2012 공병훈 개인전 (구올담 갤러리, 인천) 
2012 현대미술작가 초대전 (서울미술관, 서울)

[단체전]
2023. 달서 아트 페스티벌 (달서아트센터, 대구) 

2022. The NFT: art marketplace (대백프라자갤러리 B관, 대구) 
2021. 경북청년문화대전-청년!경북을 캔버스에 담다! (박정희체육관 로비, 구미) 
2020. 수성못페스티벌 아트로드 – 수성트레일 (수성못 남편산책로, 대구) 
2019. 현대미술조망전-리얼리즘을 보는 눈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8. 청년미술프로젝트 “미장센에 들어온 청년미술” (EXCO, 대구) 
2017. 쇄빙展 (에코락 갤러리, 서울) 
2016. 동행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서울) 
2015. ‘리얼리즘 : 시대의 초상’ (암웨이 미술관, 성남) 
2014. 가족사랑(행복한 우리가족)展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2013. ASIAN YOUNG ARTISTS (갤러리 렉싱턴, 부산) 
2012. life & design (시안미술관 별관, 영천) 
2011. 젊은 시선전 (갤러리 웅, 대구) 외 다수

[단체전]
2020. 공공미술프로젝트 '우리동네미술’ (문화체육관광부, 울릉군) 

2008. 도시디자인프로젝트1-미술, 대구를 움직이다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특별한 ART를 만나보세요!


Art For Everyone,

아트페(ArtFE)





예술가 작업실에서의 예술은
단순한 관람 이상의 경험을 선사합니다.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특별한 순간을 놓치지 마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인 멀티큐브에서

특별한 당신을 기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