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페] 유행을 거스른 멀티큐브 l Feat. 리처드 디벤콘

2024-10-08

 


'그레이큐브(Greycube)'는 역사 속으로 사라진
과거 예술가들의 작업공간을 의미합니다.

아트페만의 그레이큐브(Greycube) 콘텐츠는
객관적인 자료와 큐베이터*의 재치있는 상상력을
더해 제작되었습니다. 

큐베이터분들의 리서치와 유쾌한 상상력을 통해 탄생한
다양한 그레이큐브를 아트페와 함께 만나보세요!


* 큐베이터(Cubator)는 'Cube+Curator'의 합성어로
예술가의 공간과 작업에 대해 연구하는
아트페만의 학예사를 의미합니다.

 

[Visual Art]
∎ Artist. 리처드 디벤콘 (Richard Diebenkorn)
∎ Location.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 산타모니카
(Santa Monica, Los Angeles, California, USA)



큐베이터 Zoey's Statement



지금까지의 대부분 인상주의 예술가의 작품을 눈여겨 봐왔습니다. 
그러다 우연히 ‘Ocean Park No. 79’를 보고는 
색과 형태, 공간의 조화만으로 눈에 보이는 것을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 인상 깊었고,
그 이후 추상적인 표현에 관해서도 관심이 생겼습니다.
 구상과 추상을 오가는 예술적 전환은 
그의 끊임없는 실험이 일어났음을 보여주는 듯했고, 
이러한 혁신이 일어나는 멀티큐브에 대해서 
궁금증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아티스트 소개


ⓒ Richard Diebenkorn Foundation, The artist at the Venice Biennale with Ocean Park #48 (1971) and Ocean Park #105 (1978), Venice, Italy, 1978.

리처드 디벤콘(1922.04.22 ~ 1993.03.30)은 
미국의 추상 표현주의 화가이자 베이 에어리어 구상 운동
(Bay Area Figurative Movement)의 주요 인물 중 한 명입니다.
 초기에는 추상 표현주의 작품을, 이후에는 구상 회화를 탐구하며 
두 시기를 넘나드는 독특한 예술적 경로를 걸었습니다. 
특히 그의 "오션 파크" 시리즈는 기하학적 형태와 
섬세한 색채 조합으로 유명하며, 
예술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디벤콘의 작품은 공간의 깊이와 감정을 색채와 
형태를 통해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미국 현대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습니다. 




Q. '유행을 거스른' 멀티큐브 이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제가 작업을 시작하던 당시, 뉴욕에서 잭슨 폴록 같은 화가들이 추상표현주의로 예술계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그 시기에 많은 예술가들이 자연스레 뉴욕으로 모여들었죠. 하지만 저는 샌프란시스코에 남아 저만의 길을 찾고 싶었습니다. 캘리포니아의 샌프란시스코 만안 지역에서 동료들과 함께 구상 회화를 실험하며, 추상과 구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을 했습니다. 다른 이들은 미니멀리즘이나 컨셉추얼리즘 같은 포스트모더니즘을 추구하던 시기였지만, 저는 끊임없이 회화 작업에만 몰두했죠. 저는 언제나 유행에 휩쓸리기보다는 제 작업에 충실해지고 싶었습니다. 동시대의 예술적 흐름과는 다른 방향을 지향했기에, 제 멀티큐브를 '유행을 거스른 멀티큐브'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시대적 유행을 따르지 않는다는 의미를 넘어, 저만의 예술 세계를 구축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 Richard Diebenkorn Foundation / Wall of works on paper at the Ashland and Main studio, Santa Monica, Calif., 1973, with (top row, left to right) cats. 4112, 4096, 4097, 4099, 4095, 4108, (middle row) 4130, 4103, 4138, (bottom row) 4105 (Triptych)




Q. 유행을 거스른 멀티큐브에서 탄생한 작품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Ocean Park #54 (1972)


ⓒ Richard Diebenkorn Foundation

오션 파크 시리즈 중 하나로, 다채로운 색상과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캘리포니아의 빛과 풍경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색채와 공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실험 정신을 잘 보여줍니다. 


B. Window (1967)


ⓒ Richard Diebenkorn Foundation

구상적 요소와 추상적 기법을 결합하여 창문을 통해 
보이는 장면을 독특하게 표현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공간과 빛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며, 
저의 예술적 전환기를 보여줍니다. 




Q. 이 공간을 멀티큐브로 정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당시 저는 UCLA에서의 교수직을 제안받아 아내와 함께 버클리에서 산타모니카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아내가 박사과정 논문 연구를 포기해서 항상 미안한 마음이 한편에 남아있습니다. 산타모니카에 오자마자 저는 블루 러그 하우스라고 불리는 산타 모니카 해변 근처의 집을 대여했었습니다. 샘 프란치스코는 몇 달 후 공간을 비울 것이라며 저에게 창문이 없는 작은 방을 바로 내어줬었습니다. 첫 멀티큐브는 구할 시간이 부족했기에 일단 대여하여 드로잉 위주의 작품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그로부터 1년 이후 오션 파크 (Ocean Park) 시리즈를 제작한 해변 근처의 멀티큐브로 완전히 옮겨가 자리를 잡게 되었습니다.


ⓒ Richard Diebenkorn and Larry Rubin in the Ocean Park studio, Santa Monica, Calif., c. 1977. Photograph by Marina Schinz




Q. 멀티큐브에서의 루틴은 어떻게 되시나요?

저는 멀티큐브 내의 규칙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아침 일찍 일어나 멀티큐브에 도착하여 하루 종일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작업을 진행하는 데 저만의 규칙을 따릅니다. 저는 창작 과정에 일관성과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기에 제가 설정한 규칙은 무조건 지키며 작업 환경을 최대한 깔끔하게 유지하고자 수시로 멀티큐브를 정리했습니다.

 

ⓒ The artist at Crown Point Press, San Francisco, Calif., 1980, working on the etchings Blue Loop, Small Red, Large Light Blue, Large Bright Blue, Construct (Grid), and others. Photograph by Leo Holub



What's in My Multicube?

1.  큰 캔버스 _ 주로 큰 규모의 작품을 작업했기 때문에 넓은 작업공간을 차지하는 큰 캔버스를 즐겨 사용합니다. 특히 "오션 파크" 시리즈와 같은 작품들에는 필수적입니다.
2. 목탄 _ 저는 그림과 드로잉의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제 멀티큐브에는 스케치북과 목탄, 연필이 항상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것들은 아이디어를 빠르게 구상하고 형태를 실험하는 데 유용합니다.




Q. 작업을 안 할 때 멀티큐브에서 주로 어떤 일을 하시나요?

가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아내와 아이들과의 시간을 최대한 많이 보내고자 노력합니다. 또한, 해변 근처에 살고 있었기에 해변을 거닐거나 좋아하던 재즈 음악을 듣고, 철학 관련 책을 읽으면서 영감을 얻기도 합니다. 가끔은 다른 예술가들과의 만남이나 할리우드 파티에 참석해서 사교활동을 즐깁니다.





•••••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특별한 ART를 만나보세요!


Art For Everyone,

아트페(ArtFE)





예술가 작업실에서의 예술은
단순한 관람 이상의 경험을 선사합니다.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특별한 순간을 놓치지 마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인 멀티큐브에서

특별한 당신을 기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