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마주하는 예술작품들은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그들의 무한한 상상과 치열한 노력을 통해 탄생하게 됩니다.
오늘날 작업실, 스튜디오, 아틀리에(Aterlier) 등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의미하는 여러 단어들이 존재합니다.
아트페는 존중과 응원의 마음을 담아
다양한 개성과 특성을 지닌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멀티큐브(Multicube)'라고 표현합니다.
아트페(ArtFE)의 여정은 멀티큐브에서 시작됩니다💫
[Visual Art]
∎ Artist. 이지원 (Lee Ji-won)
∎ Location.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
(Beomeo-dong, Suseong-gu, Daegu, Republic of Korea)
아티스트 소개
안녕하세요, 아티스트 이지원입니다. 경계의 사이에 있는 가상의 세계를 상상하고 그 안에서 동양화의 본질적 모티브와 심미적 아름다움, 현대적이고 트렌디한 소재와 도구, 우리 삶 속의 다양한 이야기들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기이한 풍경을 그려냅니다.
저는 우리의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 어떠한 가상의 세계(유토피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경계 너머의 세계를 영원히 여행하고 탐험을 하는 모습을 그려서 우리가 속한 인생과 관계를 다시 돌아보고 그것을 다시 작품에 그려냅니다.
Q. '경계의 너머' 멀티큐브 이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저는 작품을 구상할 때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 사이에 작은 세계가 있다고 상상을 해 봅니다. 그곳에는 직간접적으로 쌓아둔 기억과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작은 자연이 있다고 믿고, 그것이 우리가 꿈꿔오던 무릉도원(유토피아) 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고 나면 자연을 포착하고 재구성하여 그 경계의 너머의 풍광을 그려나갑니다. 저의 멀티큐브는 이러한 경계 너머의 풍광들로 가득한 공간이라 '경계의 너머' 멀티큐브라고 이름지었습니다.
Q. 경계의 너머 멀티큐브에서 탄생한 작품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The Greenhill, 캔버스에 아크릴, 73x60.5cm, 2024
뜨거운 여름에 방문했던 산과 호수를 떠올리며
그 장소의 자료사진을 탐색하고,
직접 방문한 기억을 재구성해서 만든 산수도입니다.
경계의 너머에 있는 산수도의 일부분을 표현 한 작품입니다.
B. Bluehill 1, 캔버스에 아크릴, 53x45.5cm, 2024
겨울에 여행하면서 멀리에 보이는 설산의 모습이 인상에 남습니다.
차로 달리는 동안 가까워지지도 멀어지지도 않았던
거대한 설산을 바라보던 그 경험과 기억의 풍경을 재구성한 작품입니다.
C. Green Scene, 캔버스에 아크릴, 32x45cm, 2024
가족들과 함께 캠핑 여행을 하면서
산속에 들어가서 경험한 풍경을 재구성하여
경계의 너머에 있는 자연을 표현한 것입니다.
첩첩산중, 흐린 하늘 위에 비치는 해 또는 달의 실루엣,
간간이 들려오는 풀벌레 소리가
기억나는 장면(scene)을 떠올리며 제작해 봤습니다.
Q. 멀티큐브에서의 루틴은 어떻게 되시나요?
간단하게 청소하고 커피를 내려서 미술 공모에 관련된 서류작업을 합니다. 그리고서 작업에 필요한 자료를 정리하고 작업을 시작합니다.
Q. 작업을 안 하실 때 멀티큐브에서 어떤 일을 하시나요?
멀티큐브의 일부를 전시장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에 걸린 작품을 새로 배치하고 공간을 재구성합니다.
🎧 경계의 너머 멀티큐브의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해주세요.
'짙은'의 노래를 좋아합니다. 현실적이며 서정적인 가사와 감성적인 선율이 감수성을 자극하고 내면에 있는 상상력을 불러일으켜 주는 것 같아서입니다.
What's in My Multicube?
1. 노트북과 태블릿 _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해 작업 스케치를 하기 때문에 필수적입니다. 10년째 사용하고 있는 정든 멀티큐브 메이트입니다.
2. 텀블러 _ 작업을 하면서 커피나 차를 자주 마시기 때문에 꼭 필요한 물건입니다.
3. 물감 용기들 _ 물감을 섞고 보관을 할 수 있는 작은 용기들입니다.
Q. 앞으로 멀티큐브에서 새롭게 하고 싶은 일이나 작업이 있으실까요?
경계의 너머에 만들어지는 가상의 세계를 더욱 확장하는 작품들을 만들어 내려고 합니다. 멀티큐브에서 매일 경험하는 것들이 재료가 될 것 같습니다.
아티스트 CV
[개인전]
2024 채집팔경(採集八景) : Captured Journey - 미술점빵, 대구아트웨이, 대구
2024 The Eternal Journey - 종로타워xPublic Gallery, 서울
2022 젊은 좌표의 꿈 - 달서아트센터, 대구
2022 확장하는 자연: Expanding Nature : 골프존 조이마루, 대전
2021 전조 (前兆) : The way of Prodigious : 기묘한 여행 - 달천예술창작공간, 대구
2019 긴 밤, 섬의 노래 - TITF, 대구
2018 ON The Ground - 아트셀시, 서울
2018 이지원 초대전 –힐리언스 선마을, 홍천
2018 그 섬에 우리는 없다 - 예술공간 서:로, 서울
2018 The Island - 현대백화점, 갤러리H, 대구
2017 The Island - 부산 영도문화예술회관, 선유갤러리, 부산
2017 없는 계절 - 대안공간 눈 윈도우 갤러리, 수원
[단체전]
2024 Confluence of Scenes - Poway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San Diego(PCPA), 미국
2023 수창청춘맨숀 공공예술프로젝트<드로잉 행거&크래프트 테이블> -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2023 달서아트페스티벌 - 달서아트센터, 대구
2022 무질서한 봄 - 예술공간 서:로, 서울
2022 The 3 Column<경계확장> - 서구문화회관, 대구
2022 30th 봉산미술제 - 신미화랑, 대구
2022 예술일상, 경계확장 - 범어아트랩 오픈 갤러리, 대구
2021 New Opening - 수창청춘맨숀 x CANVERSE
2021 STUDIO EXCHANGE(달천과 수창사이) - 수창청춘맨숀, 대구
2021 대구 현대미술제 달천예술창작공간전, 강정보 디아크, 대구
2021 시간의 그림자 - 달천예술창작공간, 대구
2021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는 것이다 - 수창청춘맨숀, 대구
2021 잇다, 있다 - 참꽃갤러리, 대구
2020 그리고,그리고(Drawing & And) -가산수피아미술관, 경북
2019 어제와 다른 내일 - 양평군립미술관, 경기도
2017 Hitchhiking - 예술공간 서:로, 서울
[학력]
2006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학사
2008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동양화과 석사
•••••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특별한 ART를 만나보세요!
Art For Everyone,
아트페(ArtFE)
예술가 작업실에서의 예술은
단순한 관람 이상의 경험을 선사합니다.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특별한 순간을 놓치지 마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인 멀티큐브에서
특별한 당신을 기다립니다!
우리가 마주하는 예술작품들은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그들의 무한한 상상과 치열한 노력을 통해 탄생하게 됩니다.
오늘날 작업실, 스튜디오, 아틀리에(Aterlier) 등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의미하는 여러 단어들이 존재합니다.
아트페는 존중과 응원의 마음을 담아
다양한 개성과 특성을 지닌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을
'멀티큐브(Multicube)'라고 표현합니다.
아트페(ArtFE)의 여정은 멀티큐브에서 시작됩니다💫
[Visual Art]
∎ Artist. 이지원 (Lee Ji-won)
∎ Location.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어동
(Beomeo-dong, Suseong-gu, Daegu, Republic of Korea)
아티스트 소개
안녕하세요, 아티스트 이지원입니다. 경계의 사이에 있는 가상의 세계를 상상하고 그 안에서 동양화의 본질적 모티브와 심미적 아름다움, 현대적이고 트렌디한 소재와 도구, 우리 삶 속의 다양한 이야기들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기이한 풍경을 그려냅니다.
저는 우리의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에 어떠한 가상의 세계(유토피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경계 너머의 세계를 영원히 여행하고 탐험을 하는 모습을 그려서 우리가 속한 인생과 관계를 다시 돌아보고 그것을 다시 작품에 그려냅니다.
Q. '경계의 너머' 멀티큐브 이름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저는 작품을 구상할 때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 사이에 작은 세계가 있다고 상상을 해 봅니다. 그곳에는 직간접적으로 쌓아둔 기억과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작은 자연이 있다고 믿고, 그것이 우리가 꿈꿔오던 무릉도원(유토피아) 일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러고 나면 자연을 포착하고 재구성하여 그 경계의 너머의 풍광을 그려나갑니다. 저의 멀티큐브는 이러한 경계 너머의 풍광들로 가득한 공간이라 '경계의 너머' 멀티큐브라고 이름지었습니다.
Q. 경계의 너머 멀티큐브에서 탄생한 작품은 어떤 것이 있나요?
A. The Greenhill, 캔버스에 아크릴, 73x60.5cm, 2024
뜨거운 여름에 방문했던 산과 호수를 떠올리며
그 장소의 자료사진을 탐색하고,
직접 방문한 기억을 재구성해서 만든 산수도입니다.
경계의 너머에 있는 산수도의 일부분을 표현 한 작품입니다.
B. Bluehill 1, 캔버스에 아크릴, 53x45.5cm, 2024
겨울에 여행하면서 멀리에 보이는 설산의 모습이 인상에 남습니다.
차로 달리는 동안 가까워지지도 멀어지지도 않았던
거대한 설산을 바라보던 그 경험과 기억의 풍경을 재구성한 작품입니다.
C. Green Scene, 캔버스에 아크릴, 32x45cm, 2024
가족들과 함께 캠핑 여행을 하면서
산속에 들어가서 경험한 풍경을 재구성하여
경계의 너머에 있는 자연을 표현한 것입니다.
첩첩산중, 흐린 하늘 위에 비치는 해 또는 달의 실루엣,
간간이 들려오는 풀벌레 소리가
기억나는 장면(scene)을 떠올리며 제작해 봤습니다.
Q. 멀티큐브에서의 루틴은 어떻게 되시나요?
간단하게 청소하고 커피를 내려서 미술 공모에 관련된 서류작업을 합니다. 그리고서 작업에 필요한 자료를 정리하고 작업을 시작합니다.
Q. 작업을 안 하실 때 멀티큐브에서 어떤 일을 하시나요?
멀티큐브의 일부를 전시장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에 걸린 작품을 새로 배치하고 공간을 재구성합니다.
🎧 경계의 너머 멀티큐브의 플레이리스트를 공유해주세요.
'짙은'의 노래를 좋아합니다. 현실적이며 서정적인 가사와 감성적인 선율이 감수성을 자극하고 내면에 있는 상상력을 불러일으켜 주는 것 같아서입니다.
What's in My Multicube?
1. 노트북과 태블릿 _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해 작업 스케치를 하기 때문에 필수적입니다. 10년째 사용하고 있는 정든 멀티큐브 메이트입니다.
2. 텀블러 _ 작업을 하면서 커피나 차를 자주 마시기 때문에 꼭 필요한 물건입니다.
3. 물감 용기들 _ 물감을 섞고 보관을 할 수 있는 작은 용기들입니다.
Q. 앞으로 멀티큐브에서 새롭게 하고 싶은 일이나 작업이 있으실까요?
경계의 너머에 만들어지는 가상의 세계를 더욱 확장하는 작품들을 만들어 내려고 합니다. 멀티큐브에서 매일 경험하는 것들이 재료가 될 것 같습니다.
아티스트 CV
[개인전]
2024 채집팔경(採集八景) : Captured Journey - 미술점빵, 대구아트웨이, 대구
2024 The Eternal Journey - 종로타워xPublic Gallery, 서울
2022 젊은 좌표의 꿈 - 달서아트센터, 대구
2022 확장하는 자연: Expanding Nature : 골프존 조이마루, 대전
2021 전조 (前兆) : The way of Prodigious : 기묘한 여행 - 달천예술창작공간, 대구
2019 긴 밤, 섬의 노래 - TITF, 대구
2018 ON The Ground - 아트셀시, 서울
2018 이지원 초대전 –힐리언스 선마을, 홍천
2018 그 섬에 우리는 없다 - 예술공간 서:로, 서울
2018 The Island - 현대백화점, 갤러리H, 대구
2017 The Island - 부산 영도문화예술회관, 선유갤러리, 부산
2017 없는 계절 - 대안공간 눈 윈도우 갤러리, 수원
[단체전]
2024 Confluence of Scenes - Poway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San Diego(PCPA), 미국
2023 수창청춘맨숀 공공예술프로젝트<드로잉 행거&크래프트 테이블> - 대구예술발전소, 대구
2023 달서아트페스티벌 - 달서아트센터, 대구
2022 무질서한 봄 - 예술공간 서:로, 서울
2022 The 3 Column<경계확장> - 서구문화회관, 대구
2022 30th 봉산미술제 - 신미화랑, 대구
2022 예술일상, 경계확장 - 범어아트랩 오픈 갤러리, 대구
2021 New Opening - 수창청춘맨숀 x CANVERSE
2021 STUDIO EXCHANGE(달천과 수창사이) - 수창청춘맨숀, 대구
2021 대구 현대미술제 달천예술창작공간전, 강정보 디아크, 대구
2021 시간의 그림자 - 달천예술창작공간, 대구
2021 미래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는 것이다 - 수창청춘맨숀, 대구
2021 잇다, 있다 - 참꽃갤러리, 대구
2020 그리고,그리고(Drawing & And) -가산수피아미술관, 경북
2019 어제와 다른 내일 - 양평군립미술관, 경기도
2017 Hitchhiking - 예술공간 서:로, 서울
[학력]
2006 홍익대학교 동양화과 학사
2008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동양화과 석사
•••••
아티스트의 작업공간에서
특별한 ART를 만나보세요!
Art For Everyone,
아트페(ArtFE)
예술가 작업실에서의 예술은
단순한 관람 이상의 경험을 선사합니다.
아티스트와 함께하는
특별한 순간을 놓치지 마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인 멀티큐브에서
특별한 당신을 기다립니다!